*용어 사전은 계속해서 업데이트됩니다.

뮤직카우의 MCPI는 옥션을 통해 플랫폼에 공개된 음악증권을 구성 종목으로 산출되는 총 수익 지수예요. 코스콤과의 협의를 통해 개발되었고, 음악증권 시장의 표준을 제시하여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저작권료가 매월 발생하고, 분배금이 재투자되는 음악증권의 특성을 반영하며 2019년 1월 1일 기준시점으로 산출돼요.
MCPI를 통해 음악증권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어 보다 합리적인 투자가 가능해요.
*음악증권: 음악 저작권에서 발생되는 수익을 분배받을 수 있는 신탁수익증권

저작인접권
저작재산권은 창작자인 작곡가, 작사가 및 편곡자가 가지는 권리로, 최초 저작물을 창작한 원저작자(음악의 경우 작곡∙작사∙편곡자 등) 또는 그로부터 저작권을 양도·승계 받은 자가 가지는 권리를 말해요.
저작인접권은 완성된 저작물을 해석하고 전달해 소비자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저작인접권자(음악의 경우 가수·프로듀서 등)가 가지는 권리를 말해요. 이 중 뮤직카우가 옥션을 통해 서비스하고 있는 저작인접권은 음반제작자의 권리예요. 현행법상 저작인접권(중 음반제작자의 권리)은 음반발매일 다음해부터 70년간 유효하므로 저작인접권의 음악증권을 보유하는 경우, 저작권료를 정산받는 기간이 원저작자 사후 70년간 유효한 저작재산권에 비해 짧다는 점에 유의해야 해요.

대기금
고객님 명의의 음악증권 거래 계좌인 ‘내 지갑’에 들어있는 현금을 말해요. 예치금을 이용해 음악 수익증권을 구매하거나 거래할 수 있어요.
마켓에서 음악증권 구매 주문을 넣은 후 아직 체결되지 않은 구매금액이나 옥션 입찰 시 총 입찰금의 100%가 대기금으로 설정되며 대기금 설정된 금액은 거래에 사용이 불가능해요.
키움증권의 내부 정책에 따라 매 분기(1/4/7/10월) 두 번째 일요일에 예탁금 이용료가 지급되며, 적용 이율은 3개월 예탁금 평잔 기준으로 처리돼요.
* 평균 잔액 기준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2.00%가 적용되며, 100만원 초과인 경우에는 0.75%가 적용돼요. (2025년 4월 27일 기준)
* 다만, 키움증권의 정책에 따라 정기 지급과 별개로 비정기 지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 내용 또한 변동될 수 있어요.
현금처럼 돌려받는
뮤카포인트
뮤카포인트는 출석체크 서비스, 이벤트 등을 통해 적립할 수 있는 포인트로 뮤직카우 앱에서만 사용이 가능해요. 뮤카포인트는 ‘옥션 전용 포인트’와 ‘일반 포인트’로 구분돼요.
- 옥션 전용 포인트: 옥션 입찰 시 포인트를 사용해 캐시백을 신청할 수 있어요.
- 일반 포인트: 옥션 전용 포인트를 제외한 모든 포인트에요. 마켓, 옥션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
✔️ 포인트는 거래할 때 최소 1,000P부터 30,000P까지 쓸 수 있어요.
✔️ 주문, 입찰 시 포인트를 1P 단위로 입력해 캐시백을 신청하면 거래 완료 후 예치금으로 입금돼요.
✔️ 포인트는 주문, 입찰 금액에 영향을 주지 않아요. 주문 시 할인받는 것이 아닌, 거래 완료 후돌려받는 방식이에요.
* 포인트는 유효기간이 짧은 포인트부터 먼저 사용돼요.
* 옥션에서는 옥션 전용 포인트부터 차감되도록 자동 적용되며, 사용할 포인트 종류와 금액은 상세 페이지에서 직접 변경할 수 있어요.

기타소득
배당소득
뮤직카우를 통해 발생하는 모든 소득은 관련법(자본시장법, 소득세법 등)에 근거하여 배당소득으로 분류돼요.
✔️ 매달 저작권료를 정산 받을 경우 (곡별 원천징수세액이 1천원 이상인 경우)
✔️ 음악증권 매매로 인한 차익이 발생할 경우 (건별 원천징수세액이 1천원 이상인 경우)
이에 대한 수익금의 15.4%(소득세 14%, 지방세 1.4%)가 부과돼요.
기타소득
뮤직카우 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소득 유형은 기타소득으로, 주로 뮤카포인트를 사용하여 캐시백 된 예치금에서 발생해요.
별도의 세금이 원천징수되지는 않지만 뮤직카우를 포함하여 연간 기타소득금액 합산 금액 300만 원을 초과한 경우, 국세청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직접 진행해주셔야 해요.
*종합소득세 신고 관련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을 통해 확인 부탁드려요